4월 소비자 물가가 전년 대비 4.8%로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하고 있다.  사진: 픽사베이
4월 소비자 물가가 전년 대비 4.8%로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하고 있다.  사진: 픽사베이

올해 4월 소비자 물가가 전년 대비 4.8%로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13년여 만의 최대 상승폭으로 외식비와 생활 물품 가격이 크게 치솟으면서 물가 잡기가 윤석열 새 정부의 첫 민생 과제로 떠올랐다.

윤 대통령은 지난 13일 진행한 거시 금융 점검 회의에서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가 매우 어렵다”면서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금의 인플레이션은 코로나19 회복 과정에서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경기회복을 위해 돈을 많이 뿌려 유동성이 높아진 상황에 우크라이나 전쟁과 원자재 수요 급증이 더해지면서 예견되어온 일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원유·광물·곡물의 수입 의존도가 국가는 타격이 더 크다. 거기에 더해 미국이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달러 강세가 나타나 원화 환율 급등을 불러와 수입 물가 상승세를 더욱 빠르고 가파르게 하고 있다.

주요 대기업과 IT기업들이 우수 인재의 이탈을 막고자 크게 연봉을 인상한 것도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으며, 새로운 정부에서 59조에 이르는 방대한 2차 추경을 지방선거를 앞두고 예비하고 있어 시중에 돈이 더 풀리는 상황이 예정되고 있다.

금리를 올려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자니 1900조에 이르는 가계 부채가 걸림돌이 되는 상황이라 금리 인상도 쉽게 뽑아 들 수 있는 카드가 아니다. 정부 지출을 줄여 인플레이션에 대응해야 한다. 지방선거가 코앞이고 대선 공약 이행이 급박하지만 섣부른 추경 집행은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뿐이다. 민간에서도 인플레이션 심리에 편승해 과도한 가격 인상에 나서지 않도록 감시가 필요한 상황이다. 다만 외부 요인으로 인한 원가 변동의 변수를 민간에 감내하라고 요구하기만도 쉽지 않다.

대선 선거 과정에서 부족한 정치 경험을 배우면서 분야별 전문가를 뽑아 해결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말이 떠오른다. 과거 우리는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고용 유지와 임금 인상 자제를 내용으로 한 노·사·정 고통 분담 모델을 통해 큰 파고를 넘은 선례가 있다.

새로운 정부의 국민 통합과 앞선 리더십, 전문성이 중요해지는 국면이다. 주요 경제주체를 유기적으로 움직이고 분열된 민심을 모아 진면목을 보일 때다. 대한민국 국민 모두 싫든 좋든 한배를 탄 상황이다. 언제 까지고 패를 갈라 실패자들처럼 상대 탓만 할 수는 없다. 눈앞의 이익과 감정에 휘둘리다 보면 대국에서 필패다. 결국 누구든 손해를 감수하면서 다시 감내해 내야 다음을 기대할 수 있다. 기업은 물가 인상 요인을 최대한 자체 흡수하고, 고용 유지에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노동계 역시 임금 인상요구를 자제해야 한다.

한국투데이 관리계정입니다.
저작권자 © 한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