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이 추진된다.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위축이 현실화 됨에 따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으로 재정을 투입해 경기회복을 지원하기로 했다. 주요 국가에 대한 수출 회복이 불확실 한 상황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선재 적 대응이라 주목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2회 청와대 국무 위원회 회의에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혁신성장을 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딜 정책은 미국 32대 루스벨트 대통령이 대공황을 벗어나기 위해 1933년 추진했던 경제 정책이다.
 
당시 대공황으로 실업자가 1300만에 이르는 등 극심한 침체에 빠진 상황에서 정부 주도로 공항, 항만, 도로 등을 건설하고, 적극적으로 구제정책(救濟政策)을 전개하여 많은 성과를 올려 경제 재건의 밑거름이 되었다.
 
정부에서는 다가오는 5월에 한국판 뉴딜 정책과 방향을 국민에게 밝힐 예정이다. 속도가 중요한 일이지만, 전례 없던 상황인 만큼, 과거의 미국판 뉴딜을 답습하기보다는 현시대와 상황에 맞는 한국형 뉴딜로 그림이 그려져야 한다.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통한 고용 창출에 단순하게 머물기보다는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확대를 동시에 진행해 위기를 넘어서고 도약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코로나19가 언택트 경제를 성장을 통해 온라인 비대면 시장의 성장을 보면, 정보통신 기반의 인프라 조성의 중요성을 다시금 실감한다. 몇 년 전부터 태동하기 시작한 라이브 커머스가 급성장하는가 하면, 온라인을 바탕으로 한 배달 유통기업이 수혜를 입기도 했다.
 
항상 위기 속에 기회가 있다는 말을 명심해야 한다. 과거의 낡은 규제가 아직도 혁신으로 가는 길을 잡고 있다. 혁신을 외치면서도 제도에 막혀 원격의료 시장이 열리지 않고 있고, 혁신적 서비스를 개발한 운수 물류 스타트업 서비스가 원치 않게 도태되는 상황도 더 이상 없어야 한다.
 
위정자들은 선거로 나뉜 국론을 서둘러 모으고, 미래를 바라본 혁신으로 미증유의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데 헌신하기 바란다.

한국투데이 관리계정입니다.
저작권자 © 한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